궤변 간파하기-처세(31)
동문서답하고 두루뭉수리 일처리_'호의 베풀고 털어가기도'(2월12일 목요일)
국정감사나 청문회 등에서 질의자가 날카로운 질문을 던질 때가 있다. 이에 답변자가 변명이 군색하면 즉답을 피하고 다른 사안을 언급한다. 궤변을 늘어놓기도 한다. 동문서답을 하면서 ‘구렁이 담 넘어가기’식으로 상황을 넘기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이 통할 때도 있고 안 통할 때도 있다.
대인 관계에서도 만날 때마다 늘 웃으며 신사 같은 행동을 하면서 호의를 베푸는 사람이 있다. 화를 내거나 비난을 하지 않고 좋은 얘기만 한다. 그러면서 쥐도 새도 모르게 자신의 의사나 목적를 관철시키고, 편익을 챙긴다. ‘구렁이 담 넘어가기’식으로 다 털어가는 것이다.
기업체도 다른 업체나 시민단체가 영업과 관련한 불공정 행위를 비판하는 데 대해 적절한 해명이나 조치를 하지 않은 채 “알겠다. 알아보겠다” 식으로 넘어가기도 한다. 이미 자신의 실리는 확보했다는 것이다. 비판이 일면 위압적인 모습을 보이거나 조그만 성의를 표시하기도 한다.
이 전술은 “좋은 게 좋다”는 ‘두루뭉수리’ 전술과도 연결된다. 두루뭉수리하게 일처리를 하면서 자신의 목적을 관철하는 것이다. 조그만 모임 등에서 공금을 집행하며 일부 항목의 계산에 실수가 있어 비판받을 땐 “주머닛돈이 쌈짓돈이고, 쌈짓돈이 주머닛돈 아니냐”고 말하면서 ‘구렁이 담 넘어가기’식으로 상황을 넘기는 사람이 있다.
어떤 사안은 전면 공개하거나 떠들썩하게 일처리를 하면 논란 소지가 있을 수 있다. 이럴 땐 모든 당사자들이 큰 불만이 없도록 배려해 주면서 애초의 목적을 관철시키기도 한다. 적절한 혜택을 주면 당사자들이 비난을 자제하는 경우가 많다. 때에 따라서는 ‘구렁이 담 넘어가기’가 오히려 더 치밀한 문제 해결 방식일 수 있다고 한다.<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