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볼라 치사율 90%..全세계 공포

모바일 App 사용자에게는 실시간 전송!


<에볼라 치사율 90%의 치명적 전염병…접촉으로만 전염>



(파리=연합뉴스) 박성진 특파원 = 서아프리카에서 에볼라 바이러스로 700여 명이 넘게 숨지면서 전 세계가 '에볼라 공포'에 시달리고 있다.

그러나 에볼라 바이러스는 공기로는 전염되지 않고 감염자의 피와 땀, 침 등 체액을 통해서만 전염되기 때문에 충분히 예방하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3일 세계보건기구(WHO) 홈페이지에 따르면 에볼라 바이러스는 치사율이 최고 90%에 이른다.

예방 백신이나 치료약도 개발되지 않았기 때문에 에볼라 바이러스는 '죽음의 바이러스'로 불리며 공포를 불러 일으키고 있다.

WHO도 에볼라 바이러스를 가장 치명적일 전염병의 하나로 꼽고 있다.

기니,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 등 에볼라가 창궐한 서아프리카 3국에서 올해 들어서만 1천300여 명이 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되고 700명 이상이 목숨을 잃었다.

마거릿 챈 WHO 사무총장은 에볼라가 처음 발병한 1976년 이래 감염자 수가 가장 많고 발생 지역도 가장 넓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에볼라는 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과 동물의 피나 땀, 침과 같은 체액, 조직과 접촉을 통해서만 전염된다.

접촉 없이 공기로 전염된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에볼라 환자와 함께 비행기나 배를 타고 여행했다고 하더라고도 에볼라에 감염될 확률은 지극히 낮다.

에볼라 감염 초기 증상은 열, 두통, 근육통, 목감기 등으로 말라리아, 장티푸스, 콜레라 등 다른 질병의 증상과 비슷하다.

이 때문에 환자들은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즉각 알아채기 어렵다.

WHO는 에볼라가 돌 때 의사, 간호사 등 의료직 종사자와 환자나 감염돼 숨진 이들의 가족과 주변인이 에볼라에 감염될 확률이 높다고 지적했다.

WHO는 이런 에볼라 바이러스의 특성 때문에 에볼라가 확산하면 가족과 지역 사회를 완전히 파괴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나 환자의 체액과 접촉하지 않는 이상 일상생활이나 여행에서 감염될 가능성이 작아서 예방만 잘한다면 확산을 차단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 오전 '에볼라 바이러스' 관련 긴급대책회의

(서울=연합뉴스) 오예진 기자 = 정부는 4일 오전 세종청사에서 에볼라 바이러스와 관련한 긴급 대책회의를 연다.

국무조정실 등에 따르면 에볼라 바이러스가 최근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창궐, 대규모 사망자를 내며 치사율이 70%인 것으로 전해짐에 따라 정부는 3일 추경호 국조실장 주재의 국정상황전략회의에서 긴급 회의개최를 결정했다.

정부는 ▲ 해외여행자 안전 및 현지 교민 대책 ▲검역 강화 및 감염 예방 대책 ▲ 대국민 설명·홍보 방안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회의는 최병환 국조실 사회조정실장 주재로 열리며 외교부,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를 포함해 5개 관계부처의 담당자들이 참석할 예정이다.






목록으로
오늘 0 / 전체 862
no. 제목 작성자 조회수 작성일
183

에볼라 치사율 90%..全세계 공포

센서블뉴스83362014년 8월 4일
182

"가래침 핥아먹고 치약 1통 삼켜"

센서블뉴스89192014년 8월 3일
181

서울 첫 폭염경보..일요일 전국 비

센서블뉴스83692014년 8월 1일
180

이정현, 영호남 지역주의 벽 뚫어

센서블뉴스89912014년 7월 31일
179

삼성 스마트폰 세계 점유율 급락

센서블뉴스88342014년 7월 30일
178

경상 흑자 최대..전망치엔 밑돌아 

센서블뉴스86272014년 7월 29일
177

"남편 부동산 신고대상 아니다"

센서블뉴스81042014년 7월 28일
176

유대균·박수경 검거

센서블뉴스83872014년 7월 26일
175

구제역 돼지 692마리 살처분 완료…"추가신고 없어"

센서블뉴스85372014년 7월 25일
174

중국에 예속되는 한국경제…무역흑자 60%는 중국에서

센서블뉴스87422014년 7월 23일
173

유 추정 변사체 6개월 지난 듯

센서블뉴스91342014년 7월 22일
172

아베노믹스後 한일 경제격차 심화

센서블뉴스85902014년 7월 21일
171

삼성과 구글관계에 이상기류 흐르나

센서블뉴스82962014년 7월 19일
170

北, 역대 최대 선수단 제안

센서블뉴스84542014년 7월 18일
169

野, 수도권 전패 위기감 속 바람몰이 총력전

센서블뉴스92032014년 7월 16일
168

"능소화 꽃가루가 실명 초래?"…유해성 논란

센서블뉴스88402014년 7월 15일
167

北, DMZ 인근서 잇단 무력시위

센서블뉴스88862014년 7월 14일
166

美 "日집단자위권 결정 환영"

센서블뉴스84892014년 7월 12일
165

조혜련, 2살 연하 사업가와 재혼

센서블뉴스90562014년 7월 10일
164

너구리 영향권 점차 벗어나…일부 내륙 오후 소나기

센서블뉴스88362014년 7월 10일

센서블뉴스  서울특별시 중구 삼일대로 343, 9층     Tel : 010-4507-1006     E-mail: sensiblenews@naver.com
인터넷신문  등록 번호(발행일) : 서울, 아03069(2014.03.27)    사업자 번호 179-81-00931    통신판매업 신고 : 2019-서울종로-1516 
Copyright © (주)센서블뉴스 All rights reserved.     발행인·편집인 : 문성규   청소년보호책임자 : 문성규     회사 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및 청소년보호정책 | 뉴스제보 |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