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연합뉴스) 홍지인 기자 = 북한 최고위 대표단의 방남을 계기로 남북 대화 분위기가 복원되면서 이산가족 추가 상봉이 연내에 성사될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정부는 이산가족 상봉 문제를 남북간 현안 중에서도 최우선적인 과제로 다루겠다는 뜻을 밝혀 왔다.
류길재 통일부 장관도 5일 'KBS 일요진단' 프로그램에서 "사실 지금 이산가족 문제가 보통 문제가 아니다"라며 "정말 특단의 대책과 구체적인 안을 저희가 내놓고서 추진을 해야 되는 그런 시점이라고 생각을 한다"고 말했다.
남북이 10월 말∼11월 초 개최하기로 합의한 2차 고위급 접촉에서도 이산가족 상봉 문제는 우리측이 제기하는 의제 중에 가장 우선 순위로 협상 테이블에 올라갈 전망이다.
그러나 우리 뜻대로 조속한 상봉 개최가 순탄하리라고 장담하긴 어렵다.
이산가족 상봉 문제를 순수한 인도적 문제로 규정하는 우리측과 달리 북측은 안팎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접근해왔다.
가까운 예로 지난해 추석 계기 이산가족 상봉을 비롯해 북측의 일방적인 통보로 행사가 예정일 직전 취소되거나 연기된 사례도 적지 않다.
류 장관도 "우리 혼자서 그 문제가 중요하다고 얘기를 해도 북한이 같이 협력해 나오지 않으면 조금도 전진할 수 없는 문제"라며 "북한이 생각하는 이산가족 문제에 대한 생각과 또 과거의 이산가족 문제를 우리가 접근해 왔던, 과거 정부들이 접근해 왔던 방식들이 있다. 그렇게 단순하게 접근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계절과 시기는 이산가족 상봉에 있어선 현실적인 문제다.
북한 고위 대표단은 2차 고위급 접촉의 시기로 10월 말∼11월 초를 제시했다.
이 기간에 회담이 열리고 남북이 이산가족 상봉 개최에 합의한다고 하더라도 다시 적십자 회담을 열어 구체적인 실무 사항을 협의하는데 적잖은 시간이 걸린다.
또 숙소 준비 등 행정적인 절차에도 2∼3주는 필요하다.
고령자가 대부분인 이산가족 상봉 대상자를 배려해 지금까지 추운 겨울에는 상봉 행사를 거의 열지 않았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올해 남은 기간에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개최하는 것이 쉽지는 않아 보인다.
그러나 만약 계절을 이유로 행사가 내년 초로 미뤄진다면 오랜만에 마련된 남북 대화 분위기가 식으면서 추진 동력이 사라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최대한 이산가족 상봉 행사 준비기간을 줄이는 방법 등으로 연내 이산가족 추가 상봉 추진이 가능한 것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이 경우 고위급 접촉 이전이라도 적십자 회담을 별도 제의할 가능성이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