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도시-읍면간 학력 격차 커져

모바일 App 사용자에게는 실시간 전송!


교육부 '2014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분석

전국 중·고등학교의 대도시와 읍·면 지역 간 학력격차가 지난해까지 감소세를 보이다 올해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교육부는 28일 '2014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분석한 결과 대도시와 읍·면 지역 간 보통학력 이상 비율 차이는 2011년 7.3%포인트에서 지난해 5%포인트까지 낮아졌다가 올해 다시 5.2%포인트로 상승했다고 밝혔다.

보통학력 이상·기초학력·기초학력 미달 등 3단계 성취수준 가운데 최하위인 기초학력 미달 비율 차이도 2011년 0.8%포인트에서 지난해 0.3%포인트까지 떨어졌다가 올해 다시 0.4%포인트로 벌어졌다. 

올해 학업성취도 평가는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2학년 전체 학생 107만여명을 대상으로 국어·수학·영어 3개 교과에 대해 지난 6월 24일 시행됐다.

중·고교의 대도시와 읍·면 지역 간 보통학력 이상 비율의 차이는 고2의 경우 지난해 3.3%포인트였으나 올해 2.6%포인트로 낮아진 반면 중3은 지난해 6.7%포인트에서 올해 7.7%포인트로 높아졌다. 

반면 대도시와 읍·면 지역 간 기초학력 미달 비율의 차이는 중3과 고2 모두 올해 약간 늘어나 중학교는 지난해 0.3%포인트에서 올해 0.4%포인트로, 고등학교는 지난해 0.2%포인트에서 올해 0.4%포인트로 각각 상승했다.

전체 중·고등학교의 학업성취도를 살펴보면 보통학력 이상 비율은 지난해 80.2%에서 올해 80.8%로 0.6%포인트 높아졌지만, 기초학력 미달 비율 역시 지난해 3.4%에서 올해 3.9%로 0.5%포인트 상승했다.

기초학력 미달 비율은 중3이 지난해 3.3%에서 올해 3.7%로, 고2는 지난해 3.4%에서 올해 4.2%로, 중·고등학교 모두 높아졌다.

미달 비율은 과목별로 중3은 수학이 5.7%로 가장 높았고 영어 3.3%, 국어 2%였다. 고2는 영어가 5.9%로 가장 높았고 수학 5.4%, 국어 1.3% 순이었다.

시·도별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살펴보면 중·고교 전반에 걸쳐 가장 낮은 기초학력 미달 비율을 보인 교육청은 충북(1.6%)이었고, 울산(2%), 대구(2.1%) 등이 뒤를 이었다.  

학교에서 학생을 잘 가르쳐 성적을 끌어올린 정도를 나타내는 '학교 향상도'를 보면 고등학교는 전체 1천597개교 가운데 103개교(6.4%)가 4년 연속 향상했다.

시·도별로 4년 연속 향상된 학교의 비율은 광주(38%), 대전(29.2%), 전남(14.1%) 순으로 높았다. 

중학교는 전체 3천96개교 가운데 368개교(11.9%)가 3년 연속 향상했고 학교의 비율은 제주(34.9%), 인천(29%), 대구(27.6%) 순으로 높았다.

교육부는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학교장의 학교경영활동과 학교풍토 조성활동이 높은 중학교와 학교 경영활동과 대외활동이 많은 고등학교에서 보통학력 이상 비율이 높고 기초학력 미달 비율이 낮았다고 밝혔다. 

학생 특성에서는 부모와의 대화나 활동(일주일에 1∼2회 이상)이 많을수록 보통학력 이상 비율이 높고 기초학력 미달 비율이 낮았다.

학교별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는 '학교알리미' 사이트(www.schoolinfo.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연합뉴스)




목록으로
오늘 0 / 전체 862
no. 제목 작성자 조회수 작성일
303

대도시-읍면간 학력 격차 커져 image

센서블뉴스85462014년 11월 28일
302

"앉아서 근무하면 폐혈관 막힌다" image

센서블뉴스83632014년 11월 27일
301

힘센 최룡해,2인자 넘어 1.5인자?  image

센서블뉴스81062014년 11월 26일
300

압구정A, 경비원 전원 해고예고 통보  image

센서블뉴스86422014년 11월 25일
299

남북러 "하산-나진-포항 3각교역" image

센서블뉴스87572014년 11월 24일
298

카드결제 50万 이상 신분증 내야 image

센서블뉴스89792014년 11월 24일
297

대한민국 여초(女超) 시대 열린다  image

센서블뉴스87682014년 11월 23일
296

직장에서 내 책상 개념 사라진다 image

센서블뉴스83802014년 11월 22일
295

"아파트경비원 4만명 해고될 듯" image

센서블뉴스84022014년 11월 21일
294

세계지리 응시 9073명 한등급 ↑ image

센서블뉴스81962014년 11월 20일
293

"생명과학Ⅱ 8번 복수정답 인정해야" image

센서블뉴스79392014년 11월 20일
292

서울시민 하루평균 55쌍 이혼 image

센서블뉴스81002014년 11월 19일
291

전교조 "연금개정안 반대" 농성돌입  image

센서블뉴스76692014년 11월 18일
290

한국 노후준비 OECD '하위권' image

센서블뉴스84802014년 11월 17일
289

"서울시내 의대합격 390 넘어야" image

센서블뉴스86492014년 11월 16일
288

NYT-환구시보 美中 체제 대리전 image

센서블뉴스77032014년 11월 15일
287

朴대통령 '한중일 서밋' 깜짝 제안 image

센서블뉴스79552014년 11월 14일
286

출제위원장 "수능 영어 쉽게 출제" image

센서블뉴스85022014년 11월 13일
285

생활고에 국민연금 조기수급 급증 image

센서블뉴스92472014년 11월 12일
284

재판부 "퇴선조치시 전원 생존" image

센서블뉴스79522014년 11월 11일

센서블뉴스  서울특별시 중구 삼일대로 343, 9층     Tel : 010-4507-1006     E-mail: sensiblenews@naver.com
인터넷신문  등록 번호(발행일) : 서울, 아03069(2014.03.27)    사업자 번호 179-81-00931    통신판매업 신고 : 2019-서울종로-1516 
Copyright © (주)센서블뉴스 All rights reserved.     발행인·편집인 : 문성규   청소년보호책임자 : 문성규     회사 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및 청소년보호정책 | 뉴스제보 |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