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방선거 투표 전국서 시작…밤 11시께 당선인 윤곽


'선택'
(서울=연합뉴스) 박지호 기자 = 제6회 동시지방선거일인 4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동 제2투표소가 마련된 여의도여고에서 한 유권자가 투표함에 투표용지를 넣고 있다.



오후 6시까지 투표…투표율 60% 돌파 여부 관심

부동층 표심·세대간 대결·4050학부모 투표성향 주목

(서울=연합뉴스) 이승우 기자 = 제6회 동시지방선거 투표가 4일 오전 6시를 기해 전국 1만 3천600여 개 투표소에서 일제히 시작됐다.

투표는 오후 6시까지 진행되고 종료와 함께 투표함 수거 및 개표 작업에 들어가 이르면 밤 11시께 당선자들의 윤곽이 드러날 전망이다.

그러나 전국적으로 박빙의 경합 지역이 많아 5일 새벽녘에야 당선인이 확정되는 지역도 상당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 30~31일 진행된 사전투표 투표율이 예상보다 높았던 만큼 이번 지방선거 전체 투표율이 60%를 뛰어넘을 수도 있지만, 닷새간 '황금연휴'의 영향으로 투표율이 평년 수준에 그칠 가능성도 있어 여야 모두 이목을 집중하고 있다.


투표소 들어서는 유권자

(제천=연합뉴스) 노승혁 기자 = 제6회 동시지방선거일인 4일 오전 충북 제천시 용두동 제4투표소가 마련된 하소동 한 아파트 관리사무소에서 유권자들이 투표를 위해 들어서고 있다.

승패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는 부동층의 표심 향배, 지난 대통령선거에서 나타났던 세대 간 대결 재연 여부, 세월호 희생 학생 또래의 자녀를 둔 40대·50대 학부모들의 투표 성향 등도 관심을 모은다.

선거 당일은 사전투표와 달리 유권자들의 주민등록지에서만 투표할 수 있다.

투표소는 각 가정에 배송된 투표안내문 또는 중앙선관위 홈페이지, 지방자치단체 홈페이지, 인터넷 포털사이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선거정보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투표소에 갈 때는 주민등록증, 여권, 운전면허증 등 사진이 부착된 신분증을 가져가야 한다.

유권자 1명당 ▲교육감선거 ▲시도지사 선거 ▲구·시·군 장 선거 ▲시도의원 선거(지역구·비례) ▲구·시·군의원(지역구·비례) 등 7표를 던지게 된다.

지방선거 투표 개시
(서울=연합뉴스) 박지호 기자 = 제6회 동시지방선거일인 4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동 제1,3투표소가 마련된 여의도초등학교에서 유권자들이 투표를 하고 있다.


다만 세종은 교육감선거, 시장선거, 시의원(지역구·비례) 등 1인 4표를, 제주는 교육감선거, 도지사선거, 도의원선거(지역구·비례), 교육의원 등 1인 5표를 행사하게 된다.

투표가 끝나면 참관인이 지켜보는 가운데 투표함을 봉쇄하고 봉인스티커를 부착한 뒤 투표관리인이 서명해 봉인한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고유식별번호가 내장된 전자칩을 통해 투표함 바꿔치기 가능성을 원천 봉쇄한다"고 말했다.

개표는 투표함이 총 252곳의 개표소에 도착하는대로 시작되며, 국민 공모로 선정한 인원을 포함한 개표 인력 10만7천335명이 투입된다. 일반투표와 사전투표를 구분해 수작업으로 개표하고 사전투표 결과는 따로 집계한다.

여론조사 공표가 금지되기 직전인 일주일 전 여론조사만 보면 새누리당은 경기와 영남권 등에서 8곳, 새정치연합은 서울, 인천과 호남권 등에서 7곳에서 우위를 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선거 투표 시작
(서울=연합뉴스) 박지호 기자 = 제6회 동시지방선거일인 4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동 제1투표소가 마련된 여의도초등학교에서 유권자들이 투표를 위해 줄을 서 있다.

부산은 새누리당과 무소속 후보, 광주는 새정치연합과 무소속 후보가 경합 중이다.

이번 선거는 18대 대선 이후 1년 6개월여 만에 처음으로 치러지는 전국 단위 선거이자 박근혜 정부에 대한 중간평가 성격을 띤 분기점으로, 여야 모두 정치적 명운을 걸고 총력을 기울일 태세다.

여당인 새누리당이 선거에서 패한다면, 세월호 참사로 이미 상당한 정치적 부담을 진 박근혜 정부는 집권 2년 차부터 정국 주도권을 상당 부분 내주면서 주요 국정 과제를 원만히 추진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할 수 있다.

반면 대선과 총선에서 모두 여당에 패한 야권이 지방선거마저 무기력하게 내준다면 통합 효과가 조기에 소멸하면서 계파 갈등과 분열이 가속화하는 후폭풍에 시달릴 가능성이 있다.

leslie@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목록으로
오늘 0 / 전체 862

센서블뉴스  서울특별시 중구 삼일대로 343, 9층     Tel : 010-4507-1006     E-mail: sensiblenews@naver.com
인터넷신문  등록 번호(발행일) : 서울, 아03069(2014.03.27)    사업자 번호 179-81-00931    통신판매업 신고 : 2019-서울종로-1516 
Copyright © (주)센서블뉴스 All rights reserved.     발행인·편집인 : 문성규   청소년보호책임자 : 문성규     회사 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및 청소년보호정책 | 뉴스제보 |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