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인준반대" 사실상 굳혀…반대투표·불참·표결연기 등 검토
與 "여야 합의한 의사일정대로 가야"…강행시 정치적부담이 변수
여야는 11일 이완구 국무총리 후보자 임명동의안의 처리문제를 놓고 정반대의 입장을 보여 12일 국회 청문특위 경과보고서 채택과 본회의 표결절차가 원만히 이뤄질지 불투명하다.
애초 이 후보자의 총리 임명을 적극적으로 반대하지 않았던 새정치민주연합의 내부 기류가 청문회 과정에서 급선회, 이 후보자 인준을 반대한다는 방침을 사실상 굳힌 것으로 전해졌다.
새정치연합 원내 핵심 관계자는 "반대는 정해진 것 같고, 어떻게 (반대 의사를 표현) 할지 방식만 남은 것 같다"고 말했다.
특히 문재인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총리 후보 낙마가) 세 번째라 웬만하면 넘어가려 했으나 더는 그럴 수 없게 됐다"고 말했다. 정청래 최고위원은 이 후보자의 자진 사퇴까지 촉구했다.
새정치연합은 12일 오전 의원총회를 열어 이 후보자 인준 문제에 대한 당론을 확정할 예정이다.
현재 새정치연합 원내 지도부는 인준 반대 당론이 공식적으로 확정되면 이를 이행할 방법으로 ▲반대투표 ▲표결 불참 ▲국회 본회의 연기 제안 등 세 가지 방안을 검토 중이다. 그 전 단계로 청문특위 차원에서 경과보고서 채택반대 혹은 부적격 의견개진, 특위 불참 등의 카드도 활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문 대표의 '호남 총리' 발언으로 홍역을 치렀던 새정치연합은 현재로서는 충청권 여론에 대한 부담을 더는 측면에서 설 연휴 이후로 국회 본회의 인준 표결을 연기하자는 제안을 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이렇게 된다면 설 연휴 이후로 임명동의안 표결이 늦춰질 수도 있게 된다.
그러나 여당으로서는 설 연휴 이후까지 인준이 늦춰지는 사태를 현실적으로 받아들이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민족의 대이동이 이뤄지는 설 연휴 기간 설 차례상에 이 후보자가 청문회 기간 노출한 여러 문제점이 반복적으로 언급된다면 민심이 더 악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그 사이에 이 후보자와 관련한 다른 악재가 더 나올 가능성도 없지만은 않고, 이 후보자 취임 이후로 개각과 청와대 개편 등 인적 쇄신 일정을 미뤄놓았다는 점에서도 12일 이후로 인준을 미루는 것은 여러 면에서 불리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에 따라 새누리당은 야당이 인준 반대를 고수한다면 이날 또는 12일 오전 청문경과 보고서를 단독 채택하고, 12일 오후 국회 본회의 표결을 통해 인준을 강행할 공산이 점점 커지고 있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도 이날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안심보육 토론회'에 참석한 자리에서 이 후보자 인준 표결과 관련해 "여야가 합의한 의사일정대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토론회에 함께 참석한 유승민 원내대표 역시 야당이 동의하지 않아도 단독으로 청문 보고서를 채택하고 표결에 임할 것이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대해 "야당 입장이 아직 안정해져 있으니까, 우리는 내일 오후 2시 여야 합의대로 표결 처리하는 게 현재 입장"이라고 답했다.
다만 야당의 반대를 무시한 채 '반쪽 총리'를 힘으로 밀어붙인 '불통과 오만'의 이미지를 보일 수 있다는 점은 작지 않은 정치적 부담이다.(연합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