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부하거나 비꼬는 논리로 _ ‘리그 상승 욕구는 본능적’
축구가 활성화된 어느 나라에서는 학교와 직장, 지역, 동호회별로 리그가 다양하게 형성돼 있다고 한다. 일례로 학교의 경우 중고교나 대학별로 1부, 2부, 3부, 4부, 5부 리그 등으로 나뉘어져 있다고 한다. ‘리그’의 관점에서 보면 이를 축구인들의 리그, 야구인들의 리그, 농구인들의 리그 등으로 확대할 수 있다.
§
‘리그’라는 말에는 다양한 논리가 숨어 있다. 한 리그에 속한 구성원들은 치열하게 경쟁을 벌인다. 일례로 1~5부 리그까지 있으면 5부 리그에서 아주 뛰어난 팀이나 선수가 4부 리그로 올라가고, 4부 리그에서 매우 잘하면 3부 리그로 가는 상황을 상정할 수 있다. 모두 리그 상승을 바란다. 이것이 인간사회 본성적 특질일 수도 있다. 계층상승 욕구이기도 하다.
§
신문은 종합지, 연예․스포츠지, 경제지, 지역지 등 각기 분야별로 나뉘어 경쟁한다. 업체들도 대기업․중견기업․중소기업․소기업 등 몸집별로 리그가 형성된다. 직장에서도 직급별, 입사기수별, 나이별, 남녀별로 리그가 형성된다. 다양한 리그가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도 중요한 논리다.
리그는 ‘그들만의 리그’라는 말로도 사용된다. ‘상류층들만의 리그’, ‘부자들만의 리그’, ‘가진 자들만의 리그’라는 말로 쓰인다. 해당 리그에 속한 구성원들끼리만 잘 먹고 잘 사는 행위를 비꼬는 말이다. ‘그들만의 리그’라는 말은 다른 리그로 인식하고 간섭을 하지 않는다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어린이는 어린이들만의 리그가 있고 어른들은 어른들만의 리그가 있다는 것이다. 초등학생은 초등학생의 리그, 초등 1학년은 1학년만의 리그가 있다고 보는 것이다. 다른 리그는 그냥 관심을 갖고 지켜보고 그들만의 리그로 치부하는 것이 효과적일 때가 있다.
익히 알고 있고 때와 장소에 따라 시의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논리다. | 100점 |
일상생활에서 접한 적 있다. 예전에 사용한 경험이 있는 것 같은 논리다. | 90점 |
비슷한 사례를 경험했다. 앞으로 유사한 논리를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다. | 80점 |
동료나 친구 등 주위 사람이 구사한 논리가 "이거구나"라는 생각이 든다. | 70점 |
과거 유사한 사례가 어렴풋이 생각난다. 명확하게 알지는 못했던 논리다. | 60점 |
처음 접하는 논리다. 상대가 "이렇게도 할 수 있겠구나"라는 생각이 든다. | 50점 |
어떤 논리인지 정확히 모르겠다. 하지만 대략적으로 이해는 되는 것 같다. | 40점 |
읽어도 무슨 말인지 이해가 안된다. 몇차례 더 읽어보니 의미가 와 닿는다. | 30점 |
도무지 무슨 뜻인지 모르겠다. 앞으로 시간을 두고 차근차근 읽어봐야겠다. | 20점 |
:: 총점 ::
90점 이상 : 탁월
80~90점 : 우수
60~80점 : 보통
40~60점 : 노력
40점 이하 : 분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