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대어 부정 화법은 생동․강조 _ ‘완곡 화법’
업소 재개업 광고에서 “변함없이 성원해 주기를 바란다”고 한다. “계속 성원해 주기를 바란다”는 말보다 전달력이 높다. “늘 맛이 있다”는 말은 “변함없는 맛”이라고 한다. “불쾌하다”는 “유쾌하지 않다”라고 한다. 반대되는 단어에 부정을 해주는 화법이다. 세련된 느낌을 주고 강조의 의미도 있다. “조용히 해라”를 “절대 떠들어서는 안 된다”로 표현하기도 한다. “많은”을 “적지 않은”이라고 한다.
“전망이 어둡다”를 “전망이 밝지 않다”, “전망이 낙관적이지 않다”로 할 수 있다. “누구를 반긴다”를 “누구를 반기지 않을 이유가 없다”로, “좋아한다”를 “좋아하지 않을 이유를 찾기 어렵다”로 할 수 있다. “무의미한 자리였다”는 “유의미한 자리가 아니었다”로 한다.
§
법원 항소심 재판부가 2심 판결을 할 때 “원심(1심)은 법리에 맞다”를 “원심은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라고 낭독한다. “알고 있죠”는 “잊지 않았죠”. “해법이 없다”는 “해법이 마땅찮다(마땅하지 않다)”라고 한다. “발길이 계속 이어진다”는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계속되는 무더위”는 “꺾이지 않는 무더위”로 사용한다. 어떤 제안을 받아들이면서 “마다할(거부할) 리 없다”고 한다. 열정이 지속되는 것은 “가라앉지 않는 열정”, 소신을 계속 지킬 때는 “흔들리지 않는 소신”, 자극에 반응이 없을 땐 “꿈쩍도 하지 않는다”, 능력이 있을 땐 “능력에 모자람이 없다”라고 한다.
“~이다”를 “~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로, “~라는 지적을 받을 수 있다”를 “~라는 지적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다”로 쓰기도 한다. “범인으로 의심된다”는 “범인으로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로 표현한다. 완곡 화법이다. 부정적인 단어를 되풀이해서 강조의 느낌을 주기도 한다. “실망의 실망을 했다”, “부인의 부인을 했다”, “좌절의 좌절을 주었다”는 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익히 알고 있고 때와 장소에 따라 시의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논리다. | 100점 |
일상생활에서 접한 적 있다. 예전에 사용한 경험이 있는 것 같은 논리다. | 90점 |
비슷한 사례를 경험했다. 앞으로 유사한 논리를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다. | 80점 |
동료나 친구 등 주위 사람이 구사한 논리가 "이거구나"라는 생각이 든다. | 70점 |
과거 유사한 사례가 어렴풋이 생각난다. 명확하게 알지는 못했던 논리다. | 60점 |
처음 접하는 논리다. 상대가 "이렇게도 할 수 있겠구나"라는 생각이 든다. | 50점 |
어떤 논리인지 정확히 모르겠다. 하지만 대략적으로 이해는 되는 것 같다. | 40점 |
읽어도 무슨 말인지 이해가 안된다. 몇차례 더 읽어보니 의미가 와 닿는다. | 30점 |
도무지 무슨 뜻인지 모르겠다. 앞으로 시간을 두고 차근차근 읽어봐야겠다. | 20점 |
:: 총점 ::
90점 이상 : 탁월
80~90점 : 우수
60~80점 : 보통
40~60점 : 노력
40점 이하 : 분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