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제역 방역체계 뚫렸다..확산 우려

모바일 App 사용자에게는 실시간 전송!

<구제역 방역체계 뚫렸다…산발적인 확산 우려>


돼지농가 접근 통제 중
돼지농가 접근 통제 중
(고령=연합뉴스) 김준범 기자 = 28일 오후 경북 고령군 운수면 월산리에 있는 한 농가에서 돼지 구제역이 발생해 방역당국이 농가로 접근하는 길을 통제하고 있다.


백신접종 제대로 된 효과 못거둬…"발병 원인 추적 중"

(대구=연합뉴스) 최수호 기자 = 28일 경북 의성군에 이어 고령군 한 돼지농장에서도 구제역 양성 판정이 나오자 경북도의 방역체계에 구멍이 뚫렸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방역당국의 핵심 예방대책이 일선 현장에서 겉돈 탓에 '여름철 구제역'이 산발적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4년전 전국을 휩쓴 안동발 구제역 파동 후 방역당국은 재발방지 대책으로 소·돼지 등 구제역 감염 가능성이 있는 가축에 대한 100% 백신접종을 재발방지 대책으로 내놨다.

그러나 접종 이행을 사육 농가에만 맡겨놓다보니 부정확한 주사 등 잘못된 접종 방법으로 제대로 된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실제 이날 구제역 양성 판정을 받은 고령군 운수면 농장의 경우 9개 동에서 기르는 돼지 2천15마리에 대한 백신접종을 모두 마친 것으로 알려졌으나, 30여마리에서 발굽이 벗겨지고 출혈이 생기는 등의 증상이 나타났다.

경북도 측은 "돼지 근육(목·엉덩이 등)에 백신을 주사해야 하는데 잘못해 지방에 놓으면 효과가 떨어진다"며 "일부 농장주의 경우 경험이 많은 농장주에게 접종법을 배우지만 미숙한 탓에 주사 도중 바늘이 부러지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사육농가들의 백신접종 이행 여부를 면밀히 관리·감독하지 않는 지자체의 책임도 있다.

통상 농장주들은 백신접종 여부를 일지에 기록하고 다른 농장으로 가축을 보낼 때 그 기록을 함께 넘겨야 한다. 그러나 지자체와 방역당국은 농장주들 자율에 맡겨놓았을 뿐 직접 확인하지 않고 있다.

<그래픽> 경북 고령 돼지농장 구제역 발생
<그래픽> 경북 고령 돼지농장 구제역 발생
(서울=연합뉴스) 장예진 기자 = 경북 의성 돼지 농장에 이어 고령의 돼지 농장에서 구제역이 추가로 발생했다. 지난 24일 의성에서 3년3개월만에 구제역 확진 판명이 난지 나흘만에 인근 고령에서도 발생하면서 확산할 가능성이 커졌다. jin34@yna.co.kr @yonhap_graphics(트위터)

3년3개월만에 구제역이 첫 발생한 의성군 농장의 경우 지난 5월 고령의 한 농장에서 생후 70~80일 된 새끼돼지 651마리를 2차례에 걸쳐 입식했다. 해당 농장주는 입식 후 한달이 지나 예방접종을 실시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예방접종을 마쳤다고 알려진 새끼돼지 200여마리에서 발톱이 빠지거나 수포가 생기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자 방역당국은 현재 예방접종 실시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경북도 등은 올해 구제역의 경우 백신접종 자체가 없었던 4년전에 비해 확산 속도가 늦고 발생 빈도 역시 줄어들 것이라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구제역이 발생한 의성·고령 농장 2곳을 중심으로 한 소규모·산발적 발생은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특히 의성과 달리 고령 농장 주변 500m이내에는 3농가에서 소 228마리를, 1가구에서 돼지 1천550마리를 각각 키우고 있다. 또 3㎞ 이내로 범위를 넓히면 152가구에서 소 2천321마리를, 6가구에서 돼지 9천750마리를 각각 사육 중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발병 원인을 추적 중"이라며 "현재 또 다른 농가에서의 구제역 발생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목록으로
오늘 0 / 전체 1777
no. 제목 작성자 조회수 작성일
118

'살인적 더위'..경산 39.9도

센서블뉴스94112014년 7월 31일
117

손학규 정계은퇴..野대권구도 급변 image

센서블뉴스90982014년 7월 31일
116

金.安 동반퇴진..野 비대위 전환 image

센서블뉴스86232014년 7월 31일
115

광주전남 '이정현 당선' 논쟁 중 image

센서블뉴스88852014년 7월 31일
114

김한길 안철수 동반 퇴진할 듯 image

센서블뉴스92282014년 7월 31일
113

재보선 野참패..'공천파동 탓' image

센서블뉴스91652014년 7월 31일
112

'직구' 등 해외특송 15조..사상최대

센서블뉴스87092014년 7월 30일
111

구로역서 화재..KTX운행 중단 image

센서블뉴스95642014년 7월 30일
110

"유병언 시신 키 150㎝ 불과"  image

센서블뉴스91432014년 7월 29일
109

朴대통령 "힘들고 길었던 시간..." image

센서블뉴스90942014년 7월 29일
108

'짝사랑 여교사 살해' 징역 35년

센서블뉴스89962014년 7월 29일
107

코스피 2,060 돌파..연중 최고치

센서블뉴스88162014년 7월 29일
106

구제역 방역체계 뚫렸다..확산 우려 image

센서블뉴스90472014년 7월 28일
105

구원파 '김엄마' 김명숙 자수  image

센서블뉴스93382014년 7월 28일
104

호주 할머니 "아베는 범죄자" image

센서블뉴스92512014년 7월 27일
103

어린이 기호식품에 사카린 허용 image

센서블뉴스93382014년 7월 27일
102

최고위 성직자들 "이석기 선처" 호소 image

센서블뉴스94842014년 7월 27일
101

유대균·박수경씨 석달간 원룸서  image

센서블뉴스95552014년 7월 26일
100

경찰, 유병언 아들 용인서 검거

센서블뉴스93682014년 7월 25일
99

국과수 "유병언 사인 판명 못해" image

센서블뉴스88672014년 7월 25일

센서블뉴스  서울특별시 중구 삼일대로 343, 9층     Tel : 010-4507-1006     E-mail: sensiblenews@naver.com
인터넷신문  등록 번호(발행일) : 서울, 아03069(2014.03.27)    사업자 번호 179-81-00931    통신판매업 신고 : 2019-서울종로-1516 
Copyright © (주)센서블뉴스 All rights reserved.     발행인·편집인 : 문성규   청소년보호책임자 : 문성규     회사 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및 청소년보호정책 | 뉴스제보 |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