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장인 절반, 퇴직급여 써버려

모바일 App 사용자에게는 실시간 전송!

노후는 그림의 떡…직장인 절반 퇴직급여 써버려




사용하고 나서는 후회…"고령화 사회 생활안정에 위협"


(세종=연합뉴스) 이광철 기자 = 직장인 절반은 퇴직과 이직, 중간정산 등 이유로 퇴직급여를 미리 받아 사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6일 고용노동부가 취업포털 잡코리아와 함께 20세 이상 직장인 남녀 2천951명을 대상으로 노후와 퇴직급여에 대한 설문조사를 벌여 발표한 결과를 보면 절반을 웃도는 1천775명(54.9%)이 은퇴 이전에 퇴직급여를 받은 경험이 있었다.

이 가운데 91.6%(1천622명)는 가족생계 등 생활비(47.1%), 해외여행 등 여가(21.4%), 전세·주택구입(14.5%), 결혼(5.4%), 기타(4.2%), 자동차 구입(2.7%) 등에 퇴직급여를 사용했다.

퇴직급여 사용 경험자 중 47.5%는 돈을 쓰고 난 뒤 후회했다고 답했다.

이유로는 목돈 마련을 위한 저축 기회를 놓쳤다(55.3%)는 점을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노후준비자금 소진(25.6%), 불필요한 곳에 소비(18.1%) 등이 뒤를 이었다.

또 전체 응답자 중 노후 준비를 하고 있다고 응답한 직장인은 47.4%로 절반에도 못 미쳤다.

노후준비 수단(복수응답)은 국민연금(61.8%), 개인연금(54.6%), 저축 및 펀드(48.8%), 퇴직연금(31.7%) 순으로 나타났다.

노후 준비를 하는 직장인들은 노후자금의 안정성(84.8%, 복수응답)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했고 이어 수익률(46.5%), 세제혜택(18.7%) 등을 꼽았다.

전체 응답자의 86.9%는 노후준비 장치로서 퇴직급여가 중요하다고 답했다.

은퇴 후 선호하는 퇴직급여 수령 방법은 일시금(51.2%)과 연금(48%)이 비슷한 비율로 조사됐다.

한편 이직, 퇴직 경험이 있는 1천775명 가운데 26%(462명)는 퇴직급여를 제때 받지 못했다.

퇴직급여 체불 이유로는 기업의 재정악화로 인한 체불(36.8%), 퇴직급여 제도가 없는 기업에 근무(33.4%), 기업 도산(22%), 기타(7.1%) 등 순으로 조사됐다.

권혁태 고용노동부 근로개선정책관은 “퇴직급여가 중간에 생활자금으로 쓰이는 것은 고령화 사회에서 노후생활 안정에 큰 위협"이라며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퇴직연금 가입률을 높이고 단계적으로 퇴직연금 가입 의무화, 퇴직연금 장기가입 혜택 확대 등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목록으로
오늘 0 / 전체 1777
no. 제목 작성자 조회수 작성일
78

직장인 35% 회사일로 이별 경험

센서블뉴스85272014년 7월 18일
77

부산지하철 화재원인 '과전류' 추정 image

센서블뉴스91312014년 7월 18일
76

"투명인간 취급하라" 여교사 기소

센서블뉴스85402014년 7월 18일
75

"말레이항공기 추락, 295명 사망"

센서블뉴스84932014년 7월 18일
74

광주 도심 헬기 추락…5명 사망 image

센서블뉴스98462014년 7월 17일
72

"결혼부담액 男 1억1천 女 6천" image

센서블뉴스86622014년 7월 17일
71

서울 육아·가사 전담男 3만3천명  image

센서블뉴스90082014년 7월 17일
70

직장인 절반, 퇴직급여 써버려 image

센서블뉴스93182014년 7월 16일
69

이혼시 퇴직금·퇴직연금도 나눠야 image

센서블뉴스96252014년 7월 16일
68

노년층 "더 저축했어야"..가장 후회

센서블뉴스88842014년 7월 16일
67

정성근 문체부 장관 후보자 사퇴

센서블뉴스83292014년 7월 16일
66

"임병장 '라면전사' 희화화에 격분"  image

센서블뉴스87912014년 7월 16일
65

새 교육부 장관 후보에 황우여 

센서블뉴스86892014년 7월 15일
64

경찰, 전교조 홈페이지 서버 압수수색 image

센서블뉴스86022014년 7월 15일
63

"해외직구족 30대 여성이 주류" image

센서블뉴스85002014년 7월 15일
62

관피아 논란에 인사 '스톱' image

센서블뉴스86292014년 7월 15일
61

새누리당 새 대표에 김무성

센서블뉴스86812014년 7월 14일
60

北, 동해 NLL에 방사포 100발 발사

센서블뉴스85882014년 7월 14일
59

"승진자 영호남비율 짜맞춘 국정원 인사팀장 해임 부당" image

센서블뉴스86292014년 7월 14일
58

'신입' 비정규직 60% 중고령女

센서블뉴스87622014년 7월 14일

센서블뉴스  서울특별시 중구 삼일대로 343, 9층     Tel : 010-4507-1006     E-mail: sensiblenews@naver.com
인터넷신문  등록 번호(발행일) : 서울, 아03069(2014.03.27)    사업자 번호 179-81-00931    통신판매업 신고 : 2019-서울종로-1516 
Copyright © (주)센서블뉴스 All rights reserved.     발행인·편집인 : 문성규   청소년보호책임자 : 문성규     회사 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및 청소년보호정책 | 뉴스제보 |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