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톡·라인 '중국 먹통' 장기화 조짐

모바일 App 사용자에게는 실시간 전송!

<카톡·라인 '중국 먹통' 장기화 조짐>


글로벌 시장 확대전략에 차질 우려…정부는 '신중 모드'


(서울=연합뉴스) 고상민 김효정 기자 =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과 라인의 중국 내 먹통 문제가 열흘 넘게 지속되면서 장기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중국 정부의 고의적인 접속 차단 가능성에 힘이 실리고 있지만 우리 정부는 신중히 지켜보자는 입장이다.

카카오톡은 지난 1일 오후부터 중국 전역에서 텍스트 전송, 1:1 보이스톡, 사진 전송 기능을 제외한 모든 서비스가 중단됐다. 네이버가 자회사 형태로 운영하는 라인은 아예 메시지 전송을 비롯한 모든 기능이 먹통이다.


두 업체는 지금까지 네트워크·서버 오류 등 내부 기술적 결함을 발견하지 못한 상태다.

이번 사태에 대해 일각에서는 중국 정부가 자국 메신저인 '위챗' 등 자국 정보통신 산업 보호를 위해 강제로 서비스를 차단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미국의 월스트리트 저널을 비롯한 주요 외신들은 이번 사태를 놓고 인터넷 통제를 강화하려는 중국 당국의 의도적인 접속 차단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페이스북과 트위터 등을 차단한 전력이 있는 데다 카카오톡과 라인의 먹통 시점을 전후해 야후와 마이크로소프트의 주요 서비스도 중국에서 접속이 마비됐기 때문이다.

또 홍콩 명보(明報)는 최근 인기 사진공유 애플리케이션(앱)인 인스타그램이 중국의 안드로이드 앱 스토어에서 삭제된 것으로 알려졌다고 보도했다.

IT 전문 매체인 '테크 인 아시아'는 중국에서 야후가 운영하는 사진 공유 사이트인 플리커 와 마이크로소프트사가 운영하는 클라우드 저장 서비스인 원드라이브 사이트에도 접근할 수 없는 상태라고 전했다.

하지만 두 메신저를 운영하는 ㈜카카오와 라인주식회사는 당장 중국 당국의 접속 차단 가능성에 대해서는 조심스런 입장을 보이고 있다.

다만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네이버의 일본 자회사 라인의 대변인 하야시 후미코는 "중국에서의 서비스 불통은 내부 시스템 문제에 의한 것이 아니다"며 외부적 영향에 의한 것임을 시사했다.

카카오톡과 라인은 중국내 먹통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중국시장 진출 등 글로벌 시장 확대에 차질을 가져올 것을 우려하며 대책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정부도 관할 부처인 미래창조과학부가 외교부와 협의 하에 지난주부터 주중대사관을 통해 구체적인 원인을 파악하고 있지만 적극적으로 나서기 어려운 상황이다.

중국 당국이 개입했다는 뚜렷한 정황이 나오지 않는 데다 섣불리 나섰다가는 자칫 외교 문제로 비화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13일 "이들 메신저는 앱마켓에서 다운로드받아 이용하는 서비스 형태라 WTO 협약 대상이 아니어서 중국이 강제로 차단했다 하더라도 정부가 공식적으로 이의를 제기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서비스 차단의) 정확한 경위나 원인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섣불리 정부가 조치하기는 어려운 면이 있다"고 말했다.

이 문제가 국제적으로 이슈화되면 오히려 두 업체의 글로벌 비즈니스에 해가 될 수도 있다는 점도 정부의 고민이다. 실제로 두 업체는 정부에 아무런 도움 요청을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목록으로
오늘 0 / 전체 1777
no. 제목 작성자 조회수 작성일
57

월요일 찜통더위 기승..서울 31도

센서블뉴스82222014년 7월 14일
56

독일 세계 제패..'전차군단' 전성기 

센서블뉴스85992014년 7월 14일
55

카톡·라인 '중국 먹통' 장기화 조짐

센서블뉴스88562014년 7월 13일
54

로또 1등 10명, 각 13억1천만원

센서블뉴스85472014년 7월 13일
53

피살 재력가  '검사에게 200만원' 장부 기재  image

센서블뉴스83602014년 7월 13일
52

2011년 태어난 아기 수명 81세  image

센서블뉴스85162014년 7월 13일
51

"日재처리시설 핵폭탄 2천개 제조"

센서블뉴스82622014년 7월 12일
50

토요일 동해안·경북 일부 폭염특보 image

센서블뉴스85402014년 7월 12일
49

김명수·정성근 청문보고서 불발 image

센서블뉴스91632014년 7월 11일
48

"유병언이나 잡아라" 동네북 경찰 image

센서블뉴스88652014년 7월 11일
47

롯데호텔, 日자위대 행사 취소 통보

센서블뉴스83422014년 7월 11일
46

대구 35도 폭염경보..서울 33도 image

센서블뉴스86912014년 7월 11일
45

서울.대구 폭염주의보 발령 image

센서블뉴스89152014년 7월 10일
44

女청소년 '결혼해야한다' 45% 불과 image

센서블뉴스87612014년 7월 10일
43

아르헨, 네덜란드 격파..결승 진출

센서블뉴스84282014년 7월 10일
42

野, 권은희·손학규 공천 image

센서블뉴스84332014년 7월 9일
41

서울 올해 들어 첫 열대야 기록 image

센서블뉴스85132014년 7월 9일
40

독일, 브라질에 7-1 대승

센서블뉴스84362014년 7월 9일
39

8월부터 특진비 35% 줄어든다

센서블뉴스81802014년 7월 8일
38

총리 "국가대개조 범국민委 구성"

센서블뉴스80412014년 7월 8일

센서블뉴스  서울특별시 중구 삼일대로 343, 9층     Tel : 010-4507-1006     E-mail: sensiblenews@naver.com
인터넷신문  등록 번호(발행일) : 서울, 아03069(2014.03.27)    사업자 번호 179-81-00931    통신판매업 신고 : 2019-서울종로-1516 
Copyright © (주)센서블뉴스 All rights reserved.     발행인·편집인 : 문성규   청소년보호책임자 : 문성규     회사 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및 청소년보호정책 | 뉴스제보 |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