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방장관 "과거사 문제제기 지역 협력에 도움안돼"
일본언론 "한·중 정상, 역사 공동투쟁 자세 선명"
(도쿄=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일본 정부는 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주석의 정상회담을 계기로 한국과 중국이 일본의 역사인식 문제에 맞서 공조 태세를 강화하자 경계심을 숨기지 않았다.
3일 정상회담 공동성명과 기자회견 등에서 한·중 정상이 직접적인 대일 비판을 자제했음에도 이튿날 일본 정부 핵심인사들은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4일 기자회견에서 시 주석이 3일 한·중 정상회담 때 내년 항일전쟁 승리 70주년 행사의 공동개최를 제의했다는 중국 매체의 보도에 대해 "양국이 협력해서 과거의 역사를 쓸데없이 제기해 국제문제화하려는 시도는 이 지역의 평화와 협력 구축에 전혀 도움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외무상도 기자회견에서 한·중 정상회담 공동성명 부속서에 군위안부 공동연구 관련 내용이 포함된데 대해 "(군위안부 문제를) 정치문제, 외교문제화해서는 안 된다"며 "군위안부 문제를 비롯한 과거의 문제에 최대한 노력해왔다"고 주장했다.
한·중 양측 연구기관 간에 군위안부 문제와 관련한 자료의 공동연구와 복사, 상호기증 등에서 협력하겠다는 내용이 정상회담 공동성명 부속서에 포함된데 대한 반발이다.
이와 함께 4일 박 대통령과 시 주석간 비공식 오찬 내용을 발표하는 형식으로 한·중 정상이 일본의 최근 고노(河野)담화(일본군 위안부 강제동원을 인정하고 사죄한 1993년 고노 당시 관방장관의 담화) 검증, 집단 자위권 행사 용인에 대해 비판과 우려를 표명하자 일본 언론은 비상한 관심을 보였다.
교도통신은 "한·중 정상은 3일 회담후 기자회견에서 일본 비판을 하지 않았지만 비공식 식사자리에서 역사문제와 관련한 공동 투쟁의 자세를 재차 선명하게 보여줬다"고 소개했다.
통신은 이어 "집단 자위권과 관련, 미국이 아베 정권의 결정을 지지하고 한국 정부도 묵인하는 자세였지만 박 대통령이 중국에 동조해 비판적인 태도를 보임에 따라 일·미·한 3국 관계가 한층 동요할 가능성이 생겼다"고 전망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도 4일 한·중 정상의 비공식 오찬협의의 내용과 관련, "정상회담 공동성명에 (대일 비판이) 포함되지 않았지만 역사문제 등을 둘러싼 한·중의 공동투쟁이 재차 증명된 셈"이라고 보도했다.
jhcho@yna.co.kr